1. V 모델
폭포수 개발 모델을 바탕으로 하는 순차적 개발 모델입니다. 각 단계 별로 대응하는 테스트가 존재하여 V형태를 이뤄 V모델이라고 불립니다.
그림에서 볼 수 있다시피 V모델에서는 4가지 테스팅 레벨을 요구합니다.
- 단위 테스팅(Unit Testing) / 통합 테스팅(Integration Testing) / 시스템 테스팅(System Testing) / 인수 테스팅(Acceptance Testing)
단위 테스팅(Unit Testing)
- 테스트가 가능한 최소 단위로 나누어진 소프트웨어에서 결함을 찾고 검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여기서 최소 단위란 모듈이 될 수도 있고 객체, 클래스 등을 얘기합니다.
- 구조적인 테스팅(분기 커버리지 등)은 물론 기능성 테스트와 리소스 관련 테스팅과 같은 비기능 테스팅도 포함합니다.
- 테스트 케이스는 명세서, 상세 설계와 같은 개발 산출물에서 도출합니다.
- 코드를 중심으로 수행하며, 개발 환경의 지원을 필요로 합니다.
목적
- 기본 경로 확인을 한다.
- 모든 오류 처리 경로 확인한다.
- 단위 내 인터페이스 확인한다.
- 로컬 데이터, 경계값 확인한다.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품질 특성 외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요구사항 검증을 수행합니다.
인수 테스팅(Acceptance Testing)
시스템을 사용하는 고객이 전담하여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다른 관계자도 참여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이나 시스템 일부 또는 비기능적인 특성에 대해 신뢰성을 얻는 것이 목적입니다.
결함을 찾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을 배포하거나 실제 사용할 준비가 되었는지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반드시 최종 단계의 테스팅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인수 테스팅의 형태
1. 사용자 인수 테스팅
사용자가 시스템을 확인합니다.
2. 운영상의 인수 테스팅
관리자에 의해 테스팅됩니다.
3. 계약 인수 테스팅, 규정 인수 테스팅
계약 인수 테스팅 - 소프트웨어가 계약 상의 인수 조건을 준수하는지 확인합니다.
규정 인수 테스팅 - 지침, 규정을 준수해서 개발되었는지 확인합니다.
4. 알파 테스팅, 베타 테스팅
알파 테스팅은 개발 조직 내에서 고객에 의해 수행됩니다. 베타 테스팅은 실제 환경에서 사용자나 잠재 고객에 의해 수행됩니다.
'IT > Tes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TQB 자격증 소개 및 시험 준비 팁 (0) | 2017.12.12 |
---|---|
JUnit - private 메소드, 변수 테스트하는 법 (0) | 2017.12.10 |
JUnit 소개 (0) | 2017.12.09 |
테스팅 용어 정리 (0) | 2017.12.04 |